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전선
    AVIATION/PPL
    반응형

    전선 (Fronts)



    기단 이동 → 다른 기단 만남
    ⇒ 두 기단 경계 이룸, (기단 : 일정 두께 가진 거대 공기 덩어리)


    한랭 기단

    온도 낮고 밀도 높음
    온난 기단 아래로 쐐기 모양으로 파고 듬, 이동속도 빠르고 (35km/h) 기울기 큼, 가파른 경사면 (1/50 ~ 1/100, 평균 1/70)
    온난공기가 위로 향함, 따듯한 공기는 찬 공기 위로 타고 오름 → 따듯한 공기 불안정 ⇒ 전선 따라 or 전선 앞 좁은 지역소나기, 뇌우 발생, 적운 또는 적란운
    전전 전방 : 남풍 or 남서풍
    통과 후 : 서풍 or 북서풍
    (남 -> 북으로 변경)
    시간 경과 할 수록 따듯해짐

    온난 기단

    한랭 기단 위로 올라감, 안정상태로 전이 → 위치에너지 최소, 처음보다 위치에너지 감소 → 운동에너지로 변환, 바람 불게 됨, 상승으로 인한 단열냉각 → 수증기 응결 → 강수 현상
    더운 공기가 찬 공기 위로 타고 오름, 이동 속도 느리고 (25km/h), 기울기 작다 (1/100 ~ 1/200 (평균 1/150)
    ⇒ 온난전선 부근 난층운, 고층운 형성, 강수지역 넓고 오랫동안 지속, 강도 약함
    구름 형성 : Ci - Cs - As - Ns
    전선 통과시 기온 상승, 기압 하강, 습도 상승, 전선무 발생
    상층부의 더운 공기군으로 형성된 구름에서 강수, 전선 하층부 한랭 기단 통과 -> 강수무 (Precipitation-induced fog) 형성, 하층부가 빙점 이하면 Freezing rain
    남동풍 -> 남서풍 (시계방향)

    전선면 : 성격 다른 기단이 만난 면의 특성
    전선 : 수직으로 지표와 만나는 선

    - 정체 전선 : 두 기단의 전선이 정체, 매우 느림, 경사 다양, 온난 공기에 의해 구름, 강수 지속 형성, Cyclone 등 악기상 생김, 저기압 발달 용이, 우리나라 장마전선과 관련
    - 폐색전선 : 저기압 동반 한랭전선 + 온난전선
    - 한랭형 폐색 전선 : 한랭 전선 후면 온도 < 온난전선 전면 온도
    - 온난형 폐색 전선 : 한랭 전선 후면 > 온난전선 전면

    반응형